주식공부하는남자

반응형

배당이란

 

 배당은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의 이익금을 배분하여 지급하는 것을 뜻합니다. 배당을 지급함으로써 주주들은 해당 기업의 주식을 계속 보유하게 되고, 이는 기업의 주가를 지지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러한 배당을 지급하기 위해서는 특정 날짜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의 매수, 매도가 일어나고 보유 주주가 변하기 때문에, 만약 기준이 없다면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배당금을 주어야 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준은 보통 특정 날짜에 해당 주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입니다. 이 특정 날짜를 지칭하는 용어가 바로 기준일입니다. 배당금을 주는 모든 종목들은 전부 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그런데 배당에 대해 찾아보다 보면 배당락, 배당락일이라는 용어도 함께 따라오는 것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럼, 배당에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준일과 배당락

 

 배당은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회사가 일정 기간동안 벌어들인 이익금을 주주들에게 배분하여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주친화 정책의 하나로, 주주들이 가장 좋아하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업은 배당을 지급함으로써 주주들이 주식을 팔지 않도록 유도합니다. 주식을 매도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게 되고, 배당을 주는 기업은 매수하려는 사람이 많아지기 때문에 결국 배당은 주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주로 연 단위로 배당을 지급하는데, 연간 배당을 하는 기업의 배당 기준일은 사업년도의 최종일입니다. 보통 12월에 결산하는데, 이 경우 '12월 31일' 당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상장기업은 주주 확정을 위해 12월 31일에 주주명부 폐쇄 및 명의개서를 정지하는데, 이 날을 기준일이라고 합니다.

 

명의개서란?

  • 주주명부에 주주의 성명과 주소를 기재하는 것임.
  • 주권을 새로 취득한 사람이 언제든지 할 수 있음.
  • 해당 기업의 본점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임.
  • 한국예탁결재원, 국민은행, 하나은행이 대행하여 진행함.

 

 12월 31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지급받을 수 있지만, 국내 증시는 12월 31일에 연말 휴장일로 주식장을 열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내 증시에서의 실제 기준일은 12월 30일이 되겠으며, 해당일이 휴일이라면 더욱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배당락은 해당 사업연도에 기업의 배당이익을 받을 권리가 소멸했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기준일 하루 전날이 배당락일입니다. 12월 31일이 기준일이라면 배당락일은 12월 30일이 되는 것이죠.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지급하는데 왜 하루 전날에 권리가 소멸했다는 걸까요?

주식의 매수, 매도하는 거래는 일반적으로 물건을 사는 것과는 다릅니다. 우리가 시장에서 돈을 내고 사과를 하나 샀다면, 그 사과는 바로 내 소유가 됩니다. 하지만 주식은, 내가 당일에 매수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내 증권 계좌에 들어오는 날짜는 3 거래일 이후입니다. 따라서, 주주명부에 기준일까지 등록되려면 기준일을 포함하여 3일 전에는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것이죠. 국내 주식장의 실질적인 배당기준일은 12월 30일이기 때문에, 30일을 포함하여 3일 전인 12월 28일에는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표를 첨부했습니다.

 

12월 28일 12월 29일 12월 30일 12월 31일
진짜 기준일 배당락일 마지막 개장일 증시 휴장일

 

끝으로

 

 배당금을 지급받기 위해 종목을 매수하는 경우에는 기준일과 배당락일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국내 1위 기업이자 분기별로 배당하는 삼성전자의 경우, 배당락일과 기준일이 1년에 4번씩 있으며, 위의 설명대로 잘 따져보면 언제까지 매수해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지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통상, 배당금을 지급한 이후에는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당해주었기 때문이죠. 이는 배당금을 목적으로 매수하는 사람이 아닌, 다른 이유로 투자하는 사람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배당기준일 이후에 주식을 사면 이전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싸게 매수할 수 있는 것이죠.

 

 이상으로 배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